Wednesday, October 26, 2011

예세 라마..

족첸의 눈으로 볼 때...
중생은 곧 부처이다...
부처는 나아가야 할 길이 아니고...도달해야할 목적지가 아니다...
나아가거나 도달할 것이 아니기에...
앞으로 도달할것이라 기대할 필요없고..
도달하지 못할까 염려할 필요 없다...
이처럼 나아가지 않고서 나아가고..
도달하지않고서 도달하는 것을 대(大) 혹은 태(太)라 한다...
진실한 대는..나아갈 곳이 없다...
그 자체가 나아갈 전부이기 때문이다...
그만큼이나 크다...
자체로 충족되어있고.. 자기내포되어있다...
자기내포되어있는 그외에 어떤 다른 것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대붕...금시조는 마치 그와같다...
..........

마음은 불성(佛性)이다...
자각(自覺)이다...
자각은 자기내포되어있으므로 다른 것을 보지못한다...
보아야 할 어떤 다른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한 것을 자각이라 한다...
그러므로 릭빠는 자각이다...
어떤이는 본성을 자각하는 것이라 한다...
그러나 본성이 어디있는가...
그것이 보아야 할 대상이라면 본성이 아니다...
본성은 자각이다...
본성은 자기내포되어있다...
그러므로..마음이 불성이라는 것은..마음이 없는 것을 말한다...
마음 속에는 마음이 없다...
마음의 본성은 자각이기 때문이다...
자각에는.. 대상이 없다는 것을 꼭 기억하라...
....

가랍 도ㄹ제의 족첸 6백4십만 게송은..
윤회 6도에서 가장 아름답고 장대한 다르마 언어이다...
이 언어는...그가 타고다니던 금시조이다...
금시조는 아무나 타는 것이 아니다...
붓다 아바타ㄹ만이 그것을 탈 수 있다...

인간이 상대하기에는
너무나 거대하다고 생각한 나머지...
만주시리미뜨라는 가랍 도 ㄹ제가 타던 금시조를 세가지 수준으로 갈라놓았다...
각림(覺林)의 극초고수만이 할 수 있다는 일이었다..
비말라미뜨라와 빠드마삼바바는..이 세가지 수준에 모두 적응이 되었다...
그러나 그 이후로는 이 세가지를 서로 다른 세 전승으로 분리시켰고..
각자의 모습을 주장하게 되었다...

첫번째는 심식부(心識部)이다...
족첸의 가장 외곽을 형성하는 부분이자...
가장 저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이어서..
다수의 대중들도 여기에 따라갈 수가 있다..
심식부의 중심테마는 마음이다...
심식부의 입장에서 보면..
일체현상은 마음이다...마음에서 비롯되었다...
일체유심조다...
부처도 중생도 마음의 창조물이다...
창조물은 다양성을 갖지만...어떤 것이 형상화하기 이전의 근본바탕에서는 똑같다는 뜻이다...
..
이 때 마음은 일상적인 마음이 아니라...근본마음이다...
일체현상이 근본마음이듯이...
근본마음은 공성이고..공성은 각성이다...
원시지혜인 이 근본마음 안에 모든 것이 수용되니...
근본마음밖으로 버려야 할 어떤 다른 것이 없다...
하지만...근본마음의 각성을 취한다는 극단이 남아있다...
아이러니하게도...창조자인 근본마음은
보려하면 보이지 않고...보는 행위가 사라지면...보게된다...
........

이 심식부는 바탕에서 열여덟가지 속전(續典)으로 구성이 되어있다...
여기에 나중에 세가지가 더해져 모두 스물하나가 되었다...
그 중에서 심식부의 소의속전은.. 꾼제 갤뽀이다...
꾼제 갤뽀는...삼라만상을 창조한 왕이라는 뜻이니...
심식부(心識部)의 소의속전은 조물주속(造物主續)이다...
소의속전(所依續典)이라 하니까...생소할 수 있다...
이것은 경승(經乘)에서 소의경전(所依輕典)이라하는 것과 맥락이 같다...
꾼제갤뽀는...영어권에 번역이 되었다...
하나는 롱첸랍잠님의  `You Are the Eyes of the World`이고..
다른 하나는 최갤 남캐 노ㄹ부님의 `Supreme Source`이다..
관심있는 분은...구매버튼을 누루는 것을 주저하지 마시기 바란다...


이것이 티벳에 소개된 것은 다른 두 경로가 있다...
하나는 베로짜나이다...
다른 하나는 비말라미뜨라이다....
전승을 이룬것은 베로짜나에의해서이다...
심식부의 열여덟 속전 중에서 다섯권은 베로짜나가 티벳어로 옮기고...
나머지 열세권은 비말라미뜨라..냑 갸나꾸마라..유드라 닝뽀가 티벳어로 옮겼다..
후대 전승은 베로짜나에서 냑 갸나꾸마라로 이어졌다...
전승의 계보는 우리가 그다지 알지못하는 사람들에 의해 이어지다가..
잠양 켄쩨 왕뽀에 의해 수면위로 부상하였다...
지금 이 전승을 이은 분이 누군지는 명확하지 않다...
까똑 시뚜 최끼갸쪼에 의해 종사르 켄쩨 최끼로되로 이어졌음을 확인할 뿐이다...
심상속의 관계로 보아....
직메켄쩨린포체와 종사르켄쩨린포체를 주목하게 된다...
그러나 확인하지 못하였다...
..
족첸 심식부의 경로가 하나 더 있다...
나로빠와 마이뜨리빠에 의해 티벳에 전해진 마하무드라이다...
마하무드라는 족첸의 심식부이다...
그러므로 마하무드라는 속성상...좀 더 많은 대중들을 수용할 수 있다...
마하무드라의 대표적인 전승으로는 마ㄹ빠까귀전승과 상빠까귀전승이 있다...
마ㄹ빠까귀에는...까ㄹ마까귀..둑빠까귀..디꿍까귀 등이 포함된다...
나아가서...마칙랍된의 마하무드라최나 사꺄전승의 도과(람데)도 여기에 포함된다...
겔룩전승에서도 마하무드라를 수용하였다...
대개의 티벳전승들이 여기에 해당됨을 알 수 있다...
...

두번째는 공행부(空行部)이다...
족첸의 속을 형성하는 부분이자...
중간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이어서...
심식부만큼 대중적이지는 않으나...
전승의 경로를 보면...심식부와 하나로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공행부는 대단히 많은 속전으로 구성되어있다...
대략 2만권 정도라 한다...
그렇다보니...공행부는 다시 셋으로 나뉜다...
백공(白空)..흑공(黑空)..혼공(混空)...
이 세가지 공(空)이 다시 셋으로 나뉘니..모두 아홉이다...
그 중에서 공행부의 소의속전은.. 롱첸 랍잠 갤뽀이다...
롱첸 랍잠 갤뽀는...광대무변한 공간의 왕이라는 뜻이니...
공행부((空行部))의 소의속전은 광대무변공주속(廣大無邊空主續)이다...
롱첸 랍잠 갤뽀는...다른 언어로 번역된 적이 없다...
그러나 롱첸 랍잠 갤뽀의 아홉번째 장을 부분 번역한 것이 있다...
그 책의 이름은 Jim Valby의  `Two Dzogchen Texts`이다..
이것이 광대무변공주속(廣大無邊空主續)에 대한 유일한 정보이다..
관심있는 분은...
잠시 주저하더라도..구매버튼을 누루는 것이 좋으리라 생각된다...
이 이상의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심식부의 스물한가지 속전들과 마찬가지로..
공행부 2만권의 속전은 볼 길이 없다...
심안이 열리신분들은...
스무번정도 환생하여 일생을 바친다면 다 볼 수 있지 않을까..?
.........

족첸 공행부가 티벳에 소개된 것은 다른 두 경로가 있다...
하나는 베로짜나이다...
다른 하나는 비말라미뜨라이다....
전승의 경로는 심식부와 거의 같이 생각해도 되며...
베로짜나로부터 빵 쌍게 괸뽀에게 전승되고...
근근히 이어오다가...
잠양 켄쩨왕뽀님에 의해.. 전승의 맥이 활기를 되찾았다고 할 수 있다...
이 전에는.. 심식부와 공행부가 존재했다하더라도...
전승의 맥은 미미하였다...
심식부의 경우...
오히려...
닝마를 제외한 티벳의 싸르마 전승(까귀..사꺄..겔룩 등)에서 활성화되었다..
닝마에서는 요결부에 집중하였기 때문이다...
....

세번째는 요결부(要訣部)이다...
족첸의 씨를 형성하는 부분이자...
높은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이어서...
심식부나 공행부처럼..대중적으로 공감할 수는 없으나..
다르마를 설명하고 접근하는 가장 완벽한 부분이다...

이 요결부(要訣部)는 기본적으로 17 속전으로 구성되어있다...
그리고 각각은...전체를 구성하는 부분이 아니다...
하나하나가 요결부를 대변할 수 있는 것들이다...
심식부 공행부와는 달리..17속전의 이름을 거론해보려 한다...

1,자생원만(自生圓滿)
2,무문(無文)
3,자생시각(自生始覺)
4,자탈시각(自脫始覺)
5,보적(寶積)
6,보리신사리(菩提身舍利)
7,음반사(音反射)
8,대길상미(大吉祥美)
9,금강살타심경(金剛薩心鏡)
10,보현심경(普賢心鏡)
11,직지(直指)
12,보주환(寶珠環)
13,보현육공(普賢六空)
14,휘등(輝燈)
15,일월합일(日月合一)
16,사자전현력(獅子全顯力)
17,보열(寶列)
..
요결부는 스리 씽하에 의해..넷으로 나뉘어졌다...
치꼬ㄹ(外轉).. 낭꼬ㄹ(內轉).. 쌍꼬ㄹ(密轉).. 양 쌍 라나 메뻬 꼬ㄹ(心髓轉)..
넷은 결국 근기의 문제이다...
물론 심식부 공행부 요결부가 나뉘는 것 역시..
접근각의 문제인 동시에..수용할 수 있는 근기의 문제이기도 하다...
치꼬ㄹ는 상대적으로 낮은 근기라도 수용가능하지만...
낭꼬ㄹ 쌍꼬ㄹ에서는 점차 높은 근기를 요구하고...
양 쌍 라나 메뻬 꼬ㄹ에서는 최상의 근기를 요구한다...
양 쌍 라나 메뻬 꼬ㄹ는 다른 말로 닝틱(心髓)이다...
요결부는 수행을 크게 떽최와  퇴갤로 나눈다..
떽최에서는 네가지 체계 모두에서 거의 차등이 없지만...
퇴갤에서 차이가 분명히 드러난다...
퇴갤수행의 접근방식이..네가지 체계를 가르는 것이다...
퇴갤은 부처의 색신(色身) 수행이다...
포괄적으로 얘기하자면..
심식부와 공행부 요결부의 근본적인 차이 역시 색신 수행에 있다 할 것이다...
서로 크게 대비되는 경승과 속승의 차이를 논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얘기할 수 있다...
모든 다르마 수행의 가장 근본적인 차이는 색신에서 나타난다...
그렇다고 법신에 접근하는 방법이 모두 같다는 말은 아니다...
..
요결부의 소의속전은.. 다 딸 규ㄹ이다...
다 딸 규ㄹ는...소리의 반사라는 뜻이니...
요결부(要訣部)의 소의속전은 음반사속(音反射續)이다...
다 딸 규ㄹ는...번역된 것이 없다...
비말라미뜨라의 주석이 존재한다하나..이 역시 접근불가이다...
그러나 너무 슬퍼하지마라..
이것을 보상할 수 있는 다른 부분을 소개해 줄것이기 때문이다...
.........

족첸 요결부가 티벳에 소개된 것은 다른 두 경로가 있다...
요결부는 애초부터 양 쌍 라나 메뻬 꼬ㄹ(心髓轉)인 닝틱(心髓)이 강조되고 있다..
요결부의 치꼬ㄹ 낭꼬ㄹ 쌍꼬ㄹ는 존재하지 않는다 볼 수는 없으나..
뒷배경으로 밀려난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족첸 요결부에서는 닝틱의 두 전승이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닝틱의 두 전승은 비말라미뜨라의 비마닝틱과 빠드마삼바바의 칸도닝틱이다...
요결부(要訣部)는 기본적으로 17 속전이지만...
각 닝틱전승마다 하나의 속전을 추가함으로서..모두 18속전이 되었다...
비마닝틱의 열여덟번째 속전은...호법분노모진언속(護法忿怒母眞言續)이었다...
칸도닝틱의 열여덟번째 속전은...발광대공속(發光大空續)이었다...
하지만..양쪽전승이 이 열여덟번째 속전을 상호수용하면서...19속전으로 말하기도 한다...
닝틱의 전승은 속전만으로 구성되지 않는다...
비마닝틱은 크게 속전..아가마..우빠데샤로 구성되어있다...
속전은 근본속전 17가지에 하나를 더하여 18개의 속전이 있고...
아가마는 네개의 독립적인 구결집으로 구성되어 있다...
핵심지침인 우빠데샤는 1백 열아홉가지가 있다고 하였다....
이 모든 것이 비마닝틱이다...
비마닝틱은 냥 띵진 쌍뽀에게 전승이 이어졌고..
체쮠 쎙게 왕축을 거쳐 릭진 꾸마라자에 이르고...롱첸랍잠에게 전해진다...
칸도닝틱은...띠송데쩬의 딸 빼마 쌜에 의해 후대에 전승이 되었다...
빼마 쌜은 빼마 레델 쨀을 거쳐 롱첸랍잠으로 태어나서 칸도닝틱을 세상에 공개하였다...
칸도닝틱 안에는 12가지 모자속전이 있고...
부처님의 마지막 세가지 가르침.. 육십다섯가지 범주에 속하는 다른 가르침이 있다고 한다...
이 모든 것이 칸도닝틱이다...
..
두 닝틱전승은 서로 다른 전승방법을 취한다..
비마닝틱은 까마의 구전방식이고...칸도닝틱은 떼ㄹ마의 보장방식이었다...
두 닝틱전승은.. 족첸닝틱을 세상으로 나오게 했다...
물론 한꺼번에 나온것은 아니고...
빠드마삼바바 비말라미뜨라에서 롱첸랍잠으로...
다시 롱첸랍잠에서 직메링빠로 이어지기까지 천년의 과정이 더 필요했다고 할 수 있다...
드러나지 않고..내부에서 전개하는 과정까지 모두 2천년 이상이 걸린 셈이다...
이런 걸 두고..1천년만에 피는 꽃..우둠바라라 해야 할 것이다..
............

빠드마삼바바와 비말라미뜨라는
족첸 요결부의 닝틱을 세상에 내보냈다...
그러나 그것은 언젠가 다시 만나야 할 두개의 극이었다...
롱첸랍잠은 두개의 닝틱전승을 해설하였으며...
이 두개의 극을 끌어안아 하나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 과정에서 만들어진 것이 롱첸랍잠의 닝틱얍시이다...
닝틱얍시는 네개의 범주이다...
1,비마닝틱..
2,칸도닝틱...
3,라마양틱..
4,칸도양틱..
라마양틱은 비마닝틱의 해설이며...
칸도양틱은 칸도닝틱의 해설이다...

그리고 난 뒤...
두 닝틱을 포괄하는 하나의 그림으로...삽모 양틱을 저술하였다...
그는 이를 위해...두 닝틱의 밑그림인 17속전..
체쮠 쎙게 왕축의 체쮠닝틱...
자신의 전생인 빼마 레델 쨀의 노력을 이 안에 포함시켰다...
그것은 족첸닝틱이라는 것을 하나의 관념적 산물이 아니라...
다르마를 실증할 수 있는 도구로서 제시한 것이다...

그는 그의 생에서 두개의 큰 업적을 달성하였다...
하나는 두가지 닝틱전승을 완벽히 해설하여 닝틱얍시를 세상에 남긴 것이며...
다른 하나는 붓다다르마전체를 포괄적으로 묘사하는 7보장을 썼다는 것이다...
7보장은 족첸 6백4십만 게송에 대한 전체그림을 보여준다...
심식부..공행부..요결부를 설명하고..
닝틱으로 방점을 찍고...
아띠요가인 족첸을 마하요가..아누요가와 만나게 하고...
경승과 속승의 두 진자를 대비시키고...
족첸이 붓다다르마 9부승 전체에서 차지하는 역학적 구조를 보여준다...
그래서...7보장은 위대하다...

롱첸랍잠의 모든 자각과 기억과 가피는 한사람에게 들어갔다...
그는 롱첸랍잠이자 비말라미뜨라이자 띠송데쩬이었다...
그의 이름은 켄쩨 외쎄ㄹ라고 하는...릭진 직메링빠였다...
롱첸랍잠과 직메링빠 사이에.. 열네명의 전승자가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롱첸랍잠의 모든것은 단한사람..직메링빠에게로 들어갔다..
그 결과...그는 롱첸닝틱이라는 전승을 세상에 선포하였다...
그가 선포하였지만 롱첸닝틱은 그의 것이 아니었다..
그것은 롱첸랍잠의 모든 것이었다..
거슬러 올라가면...
두가지 닝틱을 세상에 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비말라미뜨라  빠드마삼바바가 끝내 손에 쥐고있던  궁극적 결론이었다...
가랍도르제께서 족첸 6백4십만게송을 남긴 뒤로...
이 족첸다르마의 우유죽을 휘저어...불멸의 암리타로 변형시키고..
대중의 감각으로 접근시키는데에..
2천년이 넘는 세월이 걸렸다는 이야기다...
뭐 하나를 만드는데 수천년이 걸렸다는 얘기를 들어본적이 있는가..?
그게 족첸닝틱이 세상을 변화시키는 실증적 방법으로 등장하기까지 걸린 시간이다..
........

롱첸닝틱은 직메링빠의 심상속에서 발견되었다..
심상속에서 발견되었다는 것은 과거생에 그것을 받았다는 의미이다..
받은 것은...롱첸닝틱의 관정..구전..지침
받은 자는 띠송데쩬...
준 자는 빠드마삼바바였다...

롱첸닝틱은...롱첸랍잠의 닝틱에 대한 자각과 해설이 포함되어있다...
포함된 두 가지 핵심은 닝틱얍시와 7보장이다...
이렇게 해서 빠드마삼바바가 띠송데쩬에게 준 관정은..
롱첸랍잠의 생명수를 만나...
1천년만에 꽃몽우리를 열었고...세상에 그 향기를 발산하였다...

롱첸닝틱은...해당 속전과 구결로 이루어져 있다...
속전이란...심상속에서 발견한 보장의 내용이고..
구결이란 롱첸랍잠의 두 닝틱에 대한 해설...닝틱얍시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므로...
롱첸랍잠의 두 닝틱은...롱첸닝틱 실천적 방편에 대한 이론적 바탕이 되어주고있다...
롱첸랍잠의 구결이 롱첸닝틱 안에 들어오게 됨에따라...
직메링빠의 롱첸닝틱 전승안에는 세개의 닝틱전승이 공존하게 되었다...
심상속에서 심보장으로 발견한 롱첸닝틱...
롱첸랍잠에 의해 의미를 드러낸 비마닝틱...
롱첸랍잠에 의해 의미를 드러낸 칸도닝틱...

직메링빠는 여러가지 저술을 수림(修林)에 남겼다...
그 중에서 가장 독보적인 것은 왼뗀죄와 예세라마이다...
왼뗀죄가 롱첸랍잠 7보장의 핵심구결이라면...
예셰라마는 닝틱얍시의 핵심구결이다..
..
경이로운 다르마를 장엄하는 중심에...
족첸 6백4십만 게송을 일으키는 고요한 중심에..
롱첸닝틱의 중심에.. 예셰라마가 있다..
예세라마는 모든 붓다다르마의 총체적 결론이다...
현상과 열반의 우주를 움직이는 여의봉이다..
지리한 이야기를 여기까지 끌고 온 것은...
예세라마...이 한권의 책을 소개하기 위해서였다....
지금껏
두 가지 영역본이 나와있고...
두 가지 주석이 티벳본으로 있다...
그러나...돈이 있다고 살수있는 것은 아니다...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영역본 중의 하나는..라마 최남, 쌍게 칸도 공역으로 나와있는 아래의 책이다...

YESHE LAMA: Vidyadhara Jigmed Lingpa


예셰라마 영역본인 이 책은...일반사람들에게는 금서(禁書)이다...
롱첸닝틱 전승의 스승으로부터 해당 가르침을 받은 자라야 사 볼 수 있는 책이다..
해당가르침을 받은자란...
롱첸닝틱 가행을 마치고나서...
족첸의 관정을 받고...족첸의 법을 들은 자를 말한다...
이런 자격을 갖춘자라야...예세라마를 사서보는 것이 허락된다...
그럼 왜 이것을 보여주는가..?
누군가의 예상가능한 미래의 밑그림이다...

번역본 하나가 더 있다...
토니 더프의 영역본 Highest Wisdom(Triyig Yeshe Lama)이다...



토니 더프가 운영하는 PKTC는 촉니린포체와 밍규ㄹ린포체의 정신적 후원을 받고있다...
밍규ㄹ린포체는...예세라마에 대한 법문을 하시기도 했다...
누가 번역했든...이것은 아무나 감당할 수 있는..보통 책이 아니다...
그렇다고 무시무시한 호러물은 아니다...
너무나도 아름다운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을 보는 자는.. 족첸 요결부의 17 속전을 모두 보는 것이다..
이것은 17속전의 심장이다...
닝틱얍시의  궁극적 핵심이 여기에 있다..
이것은 족첸의 이론이 아니다...
족첸닝틱 수행에 들어가는 실제적인 지침이다...
이 안에는 족첸닝틱의 길이 아주 선명하게 그려져있다...
떽최와 퇴갤의 수행을 완벽하게 보여준다...
그것은 홍광신을 이루고...부처가 되는 방법을 거침없이 보여준다...

Monday, October 24, 2011

Longchenpa's Advice from the Heart

Longchenpa's Advice from the Heart




LONGCHENPA WAS A GREAT Dzogchen practitioner. On the basis of his experience he wrote thirty words of advice for his students. These thirty advices concern certain situations of which it is important to be aware. Maybe not all of them are relevant to our situation, but undoubtedly many of these can be useful for our life. We should remember those which are more meaningful to us, and integrate them in our daily life.

The title of Longchenpa’s text is Nyingtam Sumchupa. Nyingtam means heartfelt words or words from the heart; that is, words that one does not just say to anyone, but only to those close, as advice. Sumchupa means thirty verses. Longchenpa presents this advice as if directed to himself and, by implication, also to his students. The advice concerns mainly persons like Longchenpa; he was a monk and a teacher, so his advice is appropriate for that condition. However the text also contains much advice that can be useful for everybody.


HOMAGE TO THE MASTER

I bow at the fret of my guru, the protector the supreme of the triple gem,

Who from the great clouds of aspirations, the wisdom encompassing the space expanse of reality,
Makes the stream of nectar of the warm rays of compassion fall

Ripening the buds of the three enlightened dimensions in the fields of the students.

With this verse, Longchenpa pays homage to the teacher. He compares his teacher to space and in this space, clouds form the teachings which, like rain descending upon the earth, mature the disciples’ minds.


THE EXHORTATION

By the power of my aspirations 1 became a disciple of the supreme masters of the lineage of accomplishment;

Yet, having spent my time uselessly, I have not made any effort, and now this life is coming to its twilight.

My intention was to behave like an ascetic but now I am a distressed man and seeing others like me,

I have spoken these thirty words of advice to exhort my mind in the spirit of renunciation.

Longchenpa says that because of his fortunate karma in this life he entered the path, met excellent teachers and was taught by them. Despite this good opportunity he passed his time distractedly, and his life was like the growing shadows of mountains that foretell evening. This is true for us as well: while time passes we are always distracted by useless activities.

Longchenpa had the good intention to engage in spiritual practice and other good deeds during his life but, because of his attitude and what he really had been doing, that intention became a mere wish. When he saw that his intentions did not match his actions, he felt sad. For that reason he wrote these words of advice to himself and others like him.

Unlike us, as a young man Longchenpa studied the Dharma under many teachers and later spent most of his life in the mountains. Thus, it seems that Longchenpa wrote this text of advice when he was still young, before deciding to set off for the mountains to dedicate himself to practice.

THE FIRST WORD OF ADVICE

Alas! Having gathered~ by various means, a large circle of people around your self

You may possess a prosperous monastic estate;

Yet, this is only the cause of quarrels and attachment for one's mind.

Live in solitude! This is my advice from the heart.

Through various means we gather many people around ourselves; for example, in a monastery we gather many monks, and as teachers we increase the number of our students. Once this is accomplished, we may think that now all the good conditions are present, but in reality all this is a source of quarrels and of attachment. Thus it is better we stay alone and free. I often think this: I have many students who ask me to come here and there, and I try to make them happy, but my students don’t always follow my advice to apply themselves to the practice. Sometimes they fight with each other, creating many problems, and I also bear the consequences of that. I tell them that we have commitments to maintain. I maintain the commitments with my students, but this is not sufficient. Between students too there must be mutual respect; if they do not respect each other problems arise. We, teacher and students, are in the same boat, so to speak, traveling to a very far destination. If one creates a problem in a boat it affects everyone else in that boat. This is just an example, but Longchenpa gave this advice for such situations.


THE SECOND WORD OF ADVICE

You may display to the crowd expertise iii village rites

In preventing children’s deaths and subduing evil spirits;

Yet, because of craving for food and wealth, your mind is carried off by demons.

Subdue your mind! This is my advice from the heart.

If you are a monk or a Lama people invite you to perform rites, or pujas as they are commonly known. Many monks and Lamas involved in that become puja-monks or puja-lamas. When I first arrived in Sikkim, India, where I was intending to live, I had no one to sponsor me, and I had to make money to live. Although I wanted to work I was unable get a job. At that time, many people, hearing that I was an incarnation, a learned Lama, asked me to perform rites in their homes. So I started to perform various rites for them at their houses. At the end of the rites, these households would offer me money and food. In that way, doing one or two pujas a week, I could make my livelihood. The families for whom I was performing rites advised other families, who also needed a Lama to do a puja at their house, to invite me. So my schedule became busier, as now I was performing rites three times a week; and after some weeks, I had to perform them every day; in that way I was becoming a puja-lama. I had no problem earning a living, but rites performed in this way are just for one’s livelihood. Many monks and Lamas in monasteries support themselves that way, by performing village rites. Longchenpa refers to that

‘Preventing children’s deaths’ refers to rites for curing children when they are ill or suffer from another problem. Usually, people invite monks or Lamas to perform such rites. In Tibet, people in the countryside are used to inviting monks and Lamas to perform rites when cattle, horses, and other domestic animals are struck down by a disease, or to perform rites in order to eliminate the negativity responsible for bad luck and misfortunes in the family. ‘Subduing evil spirits’ refers to rites for eliminating provocations. Where there is some provocation, usually people in Tibet ask an expert for a divination and if the divination indicates that specific rites need to he done in order to overcome the provocation, since common people do not know how to perform rites, it is the custom to invite a Lama. For example, if astrological calculations show that a person’s life condition is negatively affected in the current year, customarily people think of requesting a monastery to perform some rites.

One cannot ask a monastery to perform rites for oneself without making an offering. Thus, one offers money and other necessities, and the monastery performs the rites or dispatches monks to perfom these rites in one’s house. If a monk or other practitioners have the qualifications for performing such rites, they become puja—lamas. Such a ‘job’ creates attachment to money, wealth and food, and that is why some monks and Lamas agree to perform pujas in the first place. In this case, one’s mind is dominated by the demons, in that one is not applying the practice for the right purpose.

While I lived in Sikkim I acted as a puja-lama for many months. After some time, I received news that my father and my brother were held in prison in Tibet. The Chinese were accusing them because I was reported to be in India, working against the Chinese. Although other Tihetans were indeed involved in anti-Chinese activities, I never participated in these. Thus I decided to return to Tibet in order to prove that I was not working against the Chinese.

I traveled to the border between Sikkim and Tibet where I stayed for about a week. There, a householder asked me to stay in his house and perform rites for my own sake and theirs while waiting at least a week so as to check out how the situation in Tibet was evolving. I did the puja of Tara for more than a week and during that time, every day I received news that the situation in Tibet was becoming worse and worse. I also had a clear dream which indicated I should not go back to Tibet. The householder advised me not to return to Tibet, because if I were to do so the Chinese, instead of liberating my father and my brother, would put me in prison too. I decided not to set off for Tibet and went back down to Gangtok. However, I did not
want to live any longer as a puja-lama. I asked the government of Sikkim for a job; my request was accepted and I was offered one. Everyday I used to work in an office like an ordinary person till I went to Italy. This gave me the opportunity to pursue my studies and to practice.

Considering such situations, Longchenpa reminds us that what is most important is to re-educate our mind, to watch what kind of intention we have, what plans we have. If we see that we have a negative intention, we should change it and cultivate a good intention. We usually take various vows to control our body, speech and mind so as not to create negative karma. If we check our intention with awareness, we can control ourselves with no need of any vow.





Now That I Come to Die
Intimate Guidance from One of Tibet's Greatest Masters




Now That I Have Come to Die presents his heartfelt advice to his closest disciples in poetic verse form on how to make the teachings a path of transformation.

This new book, translated by Herbert Guenther, also focuses on the powerful practices of the Four Immeasurables: the qualities of equanimity, love, compassion, and joy. His commentary, never before published in book form, shows how systematic practice of these "catalysts of being" can upend the usual routines of our daily existence and lead us beyond the limits we have learned to take for granted. Longchenpa's writings, in clear and luminous prose, have the power to awaken our own innermost knowing and inspire us to act on the knowledge we already have. "If you have read me, you have met me." Longchenpa.

Sunday, October 23, 2011

Mahayanasutralamkara--The Ornament of the Mahayana Sutras


대승장엄..
현관 장엄과 함께..미륵오론의 두 가지 장엄 중의 하나...
현관장엄과 구경일승보성론이 심오한 견해를 대변한다면..
이 저작.. 대승장엄은 광대한 방편을 대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오론 가운데.. 유일하게 유가행을 다루고 있다..
한편...현관장엄과 구경일승보성론이 다루지 못한 측면을 마무리 짓는다..
21개의 주제가 있다.. 독특하다고 할만큼 다양한 주제들이 있다..
닝마 셰드라의 13논전 중의 하나이다...



Uttaratantra Shastra


1.BUDDHA NATURE: The Mahayana Uttaratantra Shastra with Commentary

by Arya Maitreya, comm. by Jamgon Kongtrul Lodro Thaye, add'l. explanations by Khenpo Tsultrim Gyamtso Rinpoche, trans. by Rosemarie Fuchs

`구경일승보성론`
미륵오론 가운데 유일한 샤스뜨라(논)...
중관의 맥락에서..현관장엄과 짝을 이루는 저술
이 것은.. 불성을 논한다..
누구나 불성이 있다...
그리고 길은 불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인정하는데서 출발한다...
그렇지 않다면.. 목적지도.. 길도 우리의 마음에서 사라지게 된다..
저자는 불성을 논하기 위해..다섯개의 장을 나누었고.. 일곱가지 주제를 가지고 풀어간다..
마찬가지로...닝마 셰드라의 13논전 가운데 하나이다...

여기 소개하는 첫번째 책은...
구경일승보성론에 대한 잠괸꽁뛸로되타예님의 주석이다..





2.BUDDHA-NATURE
Mahayana-Uttaratantra-Shastra
By Arya Maitreya With Commentary by Dzongsar Jamyang Khyentse Rinpoche



Abhisamayalankara

 Abhisamayalankara-- The Large Sutra on Perfect Wisdom
현관장엄... 
중관의 비구경요의....
대승장엄과 함께...두 `랑까라`(장엄) 중의 하나.. 
그러나 본질적으로는 구경일승보성론과 한짝...
여덟가지 주제.. 반야경의 숨은 의미를 드러냄.. 
반야경을 보는 진짜 방법... 이것 아니면 반야경은 종이조각에 불과...
중관을 다룬다는 측면에서.. 부처님의 이전법륜을 공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 한권의 책이 나왔다...

까귀 전승에서...5대 샤르마빠가 주석한 것이다...
앞의 것은 에드워드 콘즈가 옮긴 것이다..
큭... 그러나 나는 일편단심...미빰린포체의 주석을 기다리고 있을 뿐이다...

Gone Beyond [Vol 1]

The Prajnaparamita Sutras: The Ornament of Clear Realization and its Commentaries in the Tibetan Kagyu Tradition



Maitreya's Distinguishing Phenomena and Pure Being

법법성분별론...
이 대승의 논서를 공부하고 수지하는 것은..
족첸의 요결부의 핵심인.. 닝틱처럼 특별하다..
이 대승의 떼르마(보장)을 발견하고 인정하는 인연은 특별하다..
이것은 큰 바다에 사는.. 눈 먼 거북이의 우연처럼 희유하다..
누가 이 논서의 특별함에 감격하고 있는가?

Maitreya's Distinguishing Phenomena and Pure Being
with Commentary Mipam
trans. by Jim Scott under the guidance of Khenpo Tsultrim Gyamtso Rinpoche

Distinguishing Phenomena and Pure Being was composed by Maitreya during the golden age of Indian Buddhism. Mipham's commentary supports Maitreya's text in a detailed analysis of how ordinary confused consciousness can be transformed into wisdom. Easy-to-follow instructions guide the reader through the profound meditation that gradually brings about this transformation. This important and comprehensive work belongs on the bookshelf of any serious Buddhist practitioner--and, indeed, of anyone interested in realizing their full potential as a human being.

"Mipham’s commentary cogently supports Maitreya’s text in a detailed analysis of how ordinary confused consciousness can be transformed into wisdom. Precise and detailed instructions guide the reader through the incredibly profound meditation that gradually brings about this transformation."--Buddhism Now





탕구 린포체의  짧고 아름다운 주석..
Distinguishing Dharma and Dharmata


Middle Beyond Extremes

Middle Beyond Extremes


MIDDLE BEYOND EXTREMES: Maitreya's Madhyantavibhaga with Commentaries by Khenpo Shenga and Ju Mipham

translated by the Dharmachakra Translation Committee

중변분별...
이것은 논이 아니다..
이것은 미륵오서 가운데...두가지 비바가(분별) 중 하나이다..
이것은 도솔천에서 미륵이 아쌍가에게 전한 것이다...

이책은 현상과 실재를 설명하기 위해... 세가지 원리를 다루고 있다..
이것은 생각와 경험을 일으키는 과정을 설명하면서...
대승의 자비에 기초한 견해와 정신적인 변형을 위한 방편을 제시한다...
이 저작은 중변분별에 대한 미빰린포체와 켄뽀셍가의 주석이다...




Thursday, October 20, 2011

Dzongsar Jamyang Khyentse - What Makes You a Buddhist?



Tuesday, October 18, 2011

Great Perfection, Volume II: Separation and Breakthrough

이것은 심요...칸도닝틱의 해설이다..
이것은 3대 족첸 린포체의 Exellent Cariot의 한 부분이다..
나머지 한 부분은 
앞서 소개한 `Great Perfection: Outer and Inner Preliminaries` 이다..


Great Perfection: Outer and Inner Preliminaries


이것은 3대 족첸린포체의 심요.. 
Exellent Cariot의 한 부분이며..
칸도닝틱(Khandro Nyingthig)의 해설이다..


Dilgo Khyentse Rinpoche as Milarepa

Dilgo Khyentse Rinpoche as Milarepa:


Few months back, I was told to clean and dust an old leather suitcase. This suitcase held Neten Chokling’s most precious possession: his photo collection of his root teacher, H.H. Dilgo Khyentse Rinpoche. I went through the contents of this leather bag. Amidst many beautiful photos of Khyentse Rinpoche, there was this photo of Khyentse Rinpoche posing as Milarepa!

Video: “Mingyur Rinpoche enters the path of the wandering yogi”

Video: “Mingyur Rinpoche enters the path of the wandering yogi”:
Mingyur Rinpoche, youngest son of Tulku Urgyen Rinpoche, recently left his monastery in India to follow the life of a wandering yogi, staying in isolated retreats with no fixed plan or agenda. He didn’t take any possessions, food, or money, nor did he tell anyone where he was going. Here Tsoknyi Rinpoche talks about the importance of Mingyur Rinpoche’s retreat and the effect it has had on those close to him.




During a retreat at the Garrison Institute in July 2011, Sogyal Rinpoche and Tsoknyi Rinpoche both spoke in moving terms about Mingyur Rinpoche's current retreat and how rare it is for someone to do this style of retreat in the modern world, even amongst Tibetan lamas.

Beyond Caste: Connecting with the Dalit Buddhist Community

Beyond Caste: Connecting with the Dalit Buddhist Community:




Dalit Buddhist children eating


By Meena Srinivasan


Within minutes of my arrival to the Nagpur retreat site, where more than 500 Dalit Buddhists had gathered, a beautiful, bright-eyed, eleven-year-old girl named Ruchika ran up to me and asked, “Hello Ma’am. What’s your surname?”


“Kyon?” I inquired, which means “Why” in Hindi, although I already knew that she was asking for my surname to determine my caste.


Sure enough, her next question was, “What is your caste?”


I looked her straight in the eyes, found a smile within my heart, and answered, “I’m Buddhist. Like you, I have no caste.”


Approximately 860 miles from Mumbai, the city of Nagpur is home to the largest population of Indian Buddhists. Not only is this community bigger than any other Buddhist population in India, but these Buddhists are unlike any others. [More, with photos, follows here.] Previously lower-caste Hindus, the Indian Buddhists in Nagpur converted under the political influence of Babasaheb Bhimrao Ambedkar, author of India’s constitution, to denounce caste oppression. They became Buddhist for political and spiritual reasons, and today, the implications of their actions continue to unfold.


In the fall of 2010, a leader in the Dalit Buddhist community invited me to Nagpur to share mindfulness practices with children. Spending time with this community was especially important for me because, like the Dalit Buddhists, I’ve experienced the evils of caste oppression. However, unlike the Dalit Buddhists, who were born at the very “bottom” of caste hierarchy, my Brahmin birth placed me at the “top.”


I am American and Indian. My parents grew up in India and moved to the United States more than 40 years ago, where they raised a family. Like many others in similar circumstances, I’m a product of extreme privilege and have a deep sense of gratitude for the opportunities I’ve been given. A few years after graduating from college, I had an unexplainable, heartfelt calling to live in India, and I moved back to the land of my ancestors. During the past five years, I’ve seen firsthand the divisiveness of caste. More than anything else, this experience fueled my embrace of Buddhism. In turn, my mindfulness practice brought me to Nagpur.


Buddhists in a Hindu Country


Although more than 10 million Dalit Buddhists reside in Nagpur, the magnitude of the community and the fact of their religious conversion doesn’t alter the fact that they still live in a Hindu-dominated nation—one which fails to acknowledge them as equals. According to Prashita, a sharp, articulate, fourteen year-old girl who served as my Marathi translator, “In India, people don’t usually ask your name; they ask you, ‘What is your surname?’ and their intention is to know what caste you belong to.”


For a community that converted to Buddhism to transcend caste, I was shocked by how frequently Dalit Buddhists in Nagpur asked what caste I belonged to! When I shared this with Prashita, she told me that people from her community never say, “We are Buddhists. We don’t have any caste.” Instead they say, “We are Mahars,” which are the untouchable caste in the Hindu religion. She then introduced me to a Marathi saying, Jzaat manathun kadhi nahi jzaat, which means “caste never leaves one’s mind.”


According to Prashita, “Conversion does not actually change you. Though you are converted, you need to struggle very hard. In Buddhism there is no caste system; we are all free, we are all equal, but we have to put that in our mind first, and only then can we tell society, convince them about this.” In other words, conversion is a step in the process of changing your mindset about caste. Prashita’s message is profound: that we only go beyond caste from within.


In India, those who are from lower castes are legally classified as Scheduled Castes and are referred to as either Adivasi, which means “indigenous” in Sanskrit, or Dalit, a self-referential Marathi term implying “those who have been oppressed by those above.” According to the 2001 census, Scheduled Castes account for 16.23 percent (167 million) of India’s population. While the government of India’s Constitutional and Legislative Mechanisms affirm that they are adequately protecting Dalits from discrimination, the National Campaign for Dalit Human Rights has many documented cases of violence recently committed against Dalits. India does have Caste Reservation, a controversial scheme similar to the American Affirmative Action. However, that National Campaign data shows that Scheduled Caste children who manage to secure spaces in higher education still continuously experience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In October of 2008, my Buddhist mentor, Dharmacharya Shantum Seth, organized a trip to Nagpur for my root teacher, Venerable Thich Nhat Hanh, and more than 40 monks and nuns from Plum Village. The purpose of this visit was to give teachings to the Dalit Buddhists. Of particular importance was a teaching given at Disksha Bhumi, or “Ground of Conversion,” which took place on the anniversary of Babasaheb Bhimrao Ambedkar’s conversion to Buddhism (October 14, 1956). Ambedkar did more than anyone else to bring Buddhism back to India. As my dear mentor, Shantum, explains, “In order to understand the Dalit Buddhist community, one must first understand Ambedkar and where he was coming from, because all of these people are inspired by Ambedkar and, through him, to Buddha.”




Born into the ex-untouchable Mahar caste, Ambedkar rose against the odds to become one of the most educated men of his generation and one of the few Indian leaders of his time to have studied in the United States (Columbia University). However, even with his privileged education, he continuously suffered from humiliating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because of his caste. His experience motivated him to stand for the complete emancipation of his people and the elimination of the Hindu caste system.


In 1935 he declared that even though he had been born a Hindu, he would not die as one. The following year at a Mahar conference in Bombay, Ambedkar urged his community to convert to Buddhism. He said, “Religion is for man; man is not for religion. If you want to gain self -respect, change your religion. If you want to create a cooperating society, change your religion. If you want power, change your religion. If you want equality, change your religion. If you want independence, change your religion. If you want to make the world in which you live, happy, change your religion…” Clearly, for Ambedkar, the call to convert was political.


Unfortunately, Ambedkar died on December 6, 1956, barely two months after the great conversion, leaving behind only his book, The Buddha and His Dhamma, which is embraced as the Bible by the Dalit Buddhist community. The book presents Buddhism as ethical and rational, giving minimal attention to the contemplative tradition usually associated with Buddhism. Key to his teachings are his Twenty-Two Buddhists Oaths, of which Number Nineteen reads, “I embrace today the Buddha Dhamma, discarding the Hindu Religion, which is detrimental to the emancipation of human beings and which believes in inequality and regards human beings other than the Brahmins as low born.”


Shantum shared that for Ambedkar, “the path of liberation is liberation from suffering, including discrimination by caste that is coming from external factors that call upon us to change the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s, by organizing, agitating, and educating.” While my beloved teacher, Thich Nhat Hanh, is often seen as the founder of the Engaged Buddhism movement, he is very clear that the Sangha is not a political instrument. Thich Nhat Hanh teaches that the root of our suffering lies within ourselves and we can transform it through the practice of mindfulness. Thus, the transformation of society begins with inner transformation.


The Dalit Buddhist movement is, at its root, a political movement. This explains why many still follow Hindu rituals. However, there is a strong interest in learning more about the spiritual and religious aspects of Buddhism. Organizations including the India Branch of the Triratna Buddhist Community (formerly known as Friends of the Western Buddhist Order) now bring Dharma teachings to numerous Dalit Buddhists, and many attend the popular Goenka-ji Vipassana courses. When Thich Nhat Hanh was in Nagpur 350,000 gathered for his teaching at Dhiksha Bhumi, 10,000 engaged in walking meditation at the Nagaloka grounds, and every Hindi and Marathi copy of his books sold out.


The Triratna Buddhist Community, which has done more for the Dalit Buddhists than any other Buddhist organization in Nagpur, held the retreat that I attended. Prashita believes that such retreats for the community are essential. She explains, “Though people are converted, they don’t have that much knowledge of Buddhism, and that is why they are following the old religion. Coming to retreats is so important, so we can get what Buddhism is all about. Being a Buddhist, we should know Buddha’s teachings.”


When I arrived in Nagpur, I was amazed by my reception. I was surrounded by hundreds of warm hearts and curious minds. I came to understand that my presence was unusual. Although familiar with foreigners from the international Triratna Buddhist Community, the Dalit Buddhists had not previously encountered a very Indian-looking—but American-sounding—Buddhist. That I have a popular Brahmin surname was especially novel to them. Few members of the community had ever left Nagpur, and my adopted city of Delhi seemed like a world away, let alone America. They were deeply surprised that a Brahmin would convert to Buddhism. The more I understood the situation in Nagpur, the greater my efforts to stress the importance of using the Buddha’s teachings to move beyond caste and embrace Interbeing.


I create my livelihood as a school teacher at the American Embassy School in New Delhi. Teaching allows me to carry out many of Thich Nhat Hanh’s practices with the children in my classroom. I believe that bringing mindfulness into the lives of children is the most important thing educators can do. Doing so helps children cultivate the awareness that comes with mindfulness practice, which provides a strong foundation for creating real, lasting change in the world. I was so happy to have the opportunity to share these same practices with the children of the Dalit Buddhist community!




Armed with my mindfulness bell, I led more than 100 children through a program which consisted of belly breathing, singing meditation, smiling meditation, learning how to invite the bell, watering seeds, mindful eating, the two promises, and deep relaxation. During our time together, I discovered that only a few Dalit children had any significant understanding of Buddhism. Since I never mention the Buddha in my Delhi classroom, I welcomed the opportunity to share more openly with these children. Their receptivity to Buddhist mindfulness practices was incredible, and perhaps this is because they rarely have such programs. The children were starving for the Dharma. And, they could really connect with the teachings and feel the Dharma in their hearts.



Inviting the bell


At the last minute I had to cut my Nagpur trip short because I was invited to meet President Barack Obama and First Lady Michelle Obama at the US Embassy in New Delhi. When I shared this with the children, they became very excited and made a special card for me to present to the President and the First Lady. As I watched these precious children work so hard on the card, I felt a deep sense of gratitude for having been born and raised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lthough there are class divisions in the USA, it is incomparable to the legacy of centuries of caste oppression in India.


Growing up, my family made trips to India, where I witnessed older-generation relatives make comments about how non-Brahmins are “dirty,” and refuse to touch anything that had been touched by one of “them.” When I was in Nagpur these memories kept arising, and I could feel the seeds of anger growing within. As these feeling arose, I went to my breath, embraced my anger with mindfulness. Then, as I gladly drank from the same cup and ate and from the same plate as my newfound Indian Dharma Brothers and Sisters, I connected inwardly with all of my ancestors and tried to make peace.


Ambedkar is seen as a Bodhisattva for the Dalit Buddhists, primarily because he gave them hope. But hope, as Vaclav Havel reminds us, is “definitely not the same thing as optimism. It is not the conviction that something will turn out well, but the certainty that something makes sense, regardless of how it turns out.” When I was a child, it seemed inconceivable that we would ever have an African-American President. Here I am, age 30, and the inconceivable has become true.


Just hours after I returned from Nagpur, I made my way to the US Embassy to meet the President and First Lady. I never expected I would get to present the Dalit Buddhist children’s card to them, but not only did they receive it; they also graciously signed the card, which I then couriered back to the very happy children!




During my brief moments with Barack and Michelle, I held the children in my heart. I practiced Tonglen even as I shook the President and First Lady’s hands, looked into their eyes, took on their suffering with my breath and said, “Keep the hope alive.”


You can visit Meena’s blog, “A Year of Mindfulness in the Classroom,” at http://mindfulteacher.posterous.com. After 5 years of living in India, Meena will be moving back to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summer of 2011.


See also, from the Buddhadharma archives: Ambedkar’s Vision

Monday, October 10, 2011

Our Mind Creates Our World


"We are what we think.
All that we are arises with our thoughts.
With our thoughts we make the world.
Speak or act with an impure mind
And trouble will follow you
As the wheel follows the ox that draws the cart.
We are what we think.
All that we are arises with our thoughts.
With our thoughts we make the world.
Speak or act with a pure mind
And happiness will follow you
As your shadow, unshakable.
"Look how he abused me and hurt me,
How he threw me down and robbed me."
Live with such thoughts and you live in hate.
"Look how he abused me and hurt me,
How he threw me down and robbed me."
Abandon such thoughts, and live in love.
In this world
Hate never yet dispelled hate.
Only love dispels hate.
This is the law,
Ancient and inexhaustible."
• DHAMMAPADA •

"All phenomena are illusory displays of the mind.
The mind is no mind as the nature of mind is empty.
It's empty, yet it is unceasing and unimpeded,
manifesting as everything whatsoever:
Through careful observation, may the root be cut through."
• RANGJUNG DORJA - the 3rd KARMAPA •>/p>

Wednesday, October 5, 2011

THE MYTH OF ECONOMIC GROWTH HAS FAILED US

THE MYTH OF ECONOMIC GROWTH HAS FAILED US:









By Prof. Tim Jackson


Every society clings to a myth by which it lives.

Ours is the myth of economic growth. For the last five decades, the pursuit of growth has been the single most important policy goal across the world. The global economy is five times the size it was half a century ago. If it continues to grow at the same rate it will be 80 times that size by the year 2100.
This extraordinary ramping up of global economic activity is without historical precedent. It is totally at odds with the finite resource base and the fragile ecology on which we depend for survival.
Most of the time, we avoid the stark reality of these numbers. Growth must go on, we insist.
The reasons for this collective blindness are easy enough to find.
Western capitalism is structurally reliant on growth for its stability. When growth falters - as it has done recently - politicians panic. Businesses struggle to survive. People lose their jobs and sometimes their homes.
Questioning growth is deemed to be the act of lunatics, idealists and revolutionaries.
Yet question it we must. The myth of growth has failed us. It has failed the two billion people who still live on less than $2 a day. It has failed the fragile ecological systems on which we depend for survival.
But economic crisis presents us with a unique opportunity to invest in change. To sweep away the short-term thinking that has plagued society for decades. To engage, for instance, in a radical overhaul of dysfunctional capital markets.
Untrammelled speculation in commodities and financial derivatives brought the financial world to the brink of collapse just three years ago. It needs to be replaced by a longer, slower sense of capital.
Fixing the economy is only part of the battle. We also have to confront the convoluted logic of consumerism. The days of spending money we do not have on things we do not need to impress people we do not care about are over.
Living well is about good nutrition, decent homes, access to good quality services, stable communities, satisfying employment.
Prosperity, in any meaningful sense of the word, transcends material concerns. It resides in our love for our families, the support of our friends, the strength of our communities, our ability to participate fully in the life of society, a sense of meaning and purpose in our lives.

세계인의 인터넷 접근권리를 찾아주는 FabFi 프로젝트

세계인의 인터넷 접근권리를 찾아주는 FabFi 프로젝트:

아프가니스탄의 도시인 Jalalabad 에는 놀랍게도 쓰레기통에서 찾아낸 부품들로 만들어진 초고속 인터넷 네트워크가 있다. 주로 미국에서 건너온 엔지니어들이 주축이 되어 FabFi라는 프로젝트로 구축한 네트워크이다. 이들은 마을 주변에서 보드와 철사, 플라스틱 튜브, 캔 등을 이용해서 약 $60 달러 정도에 FabFi 노드를 만들었다. 영화처럼 느껴지는 이 스토리는 향후 우리 세계의 통신 및 네트워크와 관련한 인프라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수도 있다.

FabFi는 MIT Fab Lab과 Center for Bits and Atoms에서 진행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이다. 현재 아프가니스탄의 Jalalabad 와 케냐의 3군데 도시에서 진행되고 있다. 아프가니스탄에서 FabFi 네트워크는 병원 등과 같은 지역사회 필수 인프라에 해당하는 곳들과 지역의 사업을 하는 사람들에게 큰 도움을 주고 있다. 금속재질의 메시(mesh) 표면으로 집에서 만든 RF 반사체를 덮고, 라우터를 연결한 뒤 멀리 떨어진 라우터와 ad-hoc(중앙에 어떤 매개 네트워크가 없이 직접 연결) 방식으로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반사체(reflector)의 수에는 이론적으로 제한이 없다. 현재 이렇게 구성된 FabFi 네트워크는 Jalalabad 전역을 커버하고 있다.

이 반사체의 전력은 자동차의 배터리를 가지고 공급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굳이 지역에 중앙집중식으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통신망을 유지할 수 있다고 한다. 이들 네트워크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저렴한 노트북 보급 프로젝트인 OLPC(One Laptop Per Child)도 같이 보급되었는데, 이를 통해 지역주민들이 위키피디아 등에 접속을 하는 등 지역사회의 발전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FabFi 프로젝트가 아프가니스탄과 같은 낙후된 지역의 문제를 크게 해결해주지는 못할 것이다. 그렇지만, 이런 시도가 세계를 조금은 더 살기좋은 곳으로 만들어주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FabFi 와 같은 네트워크는 중앙집중적인 관리가 없더라도 지역사회에서 독자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역사회에서 독자적으로 할 수 있는 자율적인 분산기술들이 저렴하게 많이 보급될 때, 우리 사회의 안전성도 훨씬 좋아지게 될 것이다.


FabFi 프로젝트 홈페이지
저작자 표시
비영리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Creative Commons License

Saturday, October 1, 2011

영화 '인사이드 잡'이 말하는 경제위기의 본질


유럽 재정위기가 촉발한 '더블 딥(이중 침체)' 공포가 세계 경제를 강타하고 있다. 그리스와 아일랜드, 포르투갈 등 남부 유럽의 재정위기가 유럽 전반의 위기로 확산되면서 독일과 프랑스 등 금융기관들의 자금경색이 시작되는 등 한때 세계 금융시장이 패닉으로 치닫기도 했다. 일시적인 유동성 압박을 넘어 글로벌 신용경색과 세계적인 경기침체 또는 경제공황으로 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지난 5월 개봉한 영화 '인사이드 잡'은 경제위기가 계속해서 확대 재생산 되는 이유를 설명해 준다. 올해 아카데미 영화제 다큐멘터리 부문 작품상을 받은 이 영화의 문제 제기는 크게 두 가지다. 첫째, 정치 권력과 월스트리트 금융 자본의 결탁, 둘째, 무분별한 규제완화의 위험과 금융 자본주의의 구조적 모순이다. 이 영화는 우리가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에서 아무런 교훈도 얻지 못했다는 사실을 일깨워 준다.

2011년 10월 세계 경제의 위기는 3년 전 2008년 서브프라임 사태의 연장선 위에 있다. 책임자들은 처벌을 받기는커녕 여전히 회전문을 들락거리면서 권력을 휘두르고 있다. 파생상품 규제는 흐지부지됐고 미국의 부실을 세계 여러 나라들에 떠넘기는 과정에서 글로벌 불균형이 더욱 심화됐다.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교수가 지적한 것처럼 이익을 사유화하고 손실을 세계화하는 시스템이 지속되면서 위기를 확대 재생산하고 있다.

미국 금융산업은 1980년 도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 시절부터 비약적으로 성장했다. 1999년 은행의 인수‧합병을 제한하고 고객의 자산으로 모험 투자를 할 수 없도록 규제한 글래스스티걸법이 폐지되고 시티그룹 살리기 법이라고 불렸던 글렘리치블라일법이 통과되면서 금융회사들의 인수합병이 크게 늘어났다. 이 법의 통과에 주도적으로 개입했던 사람이 앨런 그린스펀 전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이었다.

그린스펀과 함께 글렘리치블라일법을 통과시키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로버트 루빈 재무부 장관은 시티그룹 부회장으로 옮겨간다. 루빈은 재무부 장관으로 옮겨오기 전에 골드만삭스의 최고경영자를 지낸 바 있다.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 시절 재무부 장관을 지냈던 도널드 리건 역시 메릴린치 최고경영자 출신이다. 연준 의장이었던 폴 볼커는 체이스맨하탄 출신이다. 30년에 걸친 금융 규제완화는 이들의 작품이었다.

1998년 미국 상품선물위원회(CFTC)가 파생상품 규제 법안을 발표했을 때 월스트리트는 로비스트들을 동원해 법안 통과를 강력하게 저지하면서 오히려 파생상품을 보호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그린스펀과 래리 서머스 재무부 장관, 필 그램 상원 금융위원장의 작품이었는데 그램은 퇴직 이후 UBS인베스트먼트뱅크의 부사장으로 옮겨갔고 서머스는 헤지펀드의 컨설턴트로 일하면서 2천만달러 이상을 벌어들였다.

소로스펀드의 조지 소로스는 금융 시스템을 거대한 유조선에 비유한다. "이것은 아주 크죠. 그래서 기름이 출렁거려서 배가 전복되는 걸 막기 위해 칸막이로 구분해 놓습니다. 1930년대 세계 대공황 이후 도입된 금융 규제는 이런 물샐 틈 없는 벽이었습니다. 1980년 이후 실시된 금융 규제완화는 이런 벽으로 만든 컴파트먼트를 없애는 것이었죠. 위기는 1990년 후반부터 시작됐습니다."

"규제완화와 기술의 발전은 파생상품의 폭발을 일으켰습니다. 경제학자들과 은행가들은 그들이 시장을 더욱 안전하게 만들었다고 주장했지만 그건 사실과 다릅니다. 냉전시대가 종식된 이래 전직 물리학자와 수학자들은 그들의 기술을 냉전시대의 기술이 아닌 금융시장에 적용했습니다. 투자은행과 헤지펀드를 합쳐서, 전혀 다른 종류의 무기, 워렌 버핏이 말했듯이 대량 살상무기를 만든 거죠." (앤드류 셩, 중국금융감독위원회)

"감독자들, 정치가들, 사업가들 모두 이런 금융적 혁신이 가져올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위협을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파생상품을 이용해서 은행가들은 어떤 것에도 도박을 할 수 있게 됐습니다. 유가의 상승이나 하락에 돈을 걸 수도 있었고 어떤 회사의 파산이나 심지어 날씨에도 돈을 걸 수 있었습니다. 1990년 후반 즈음에는, 파생상품 시장은 15조달러 규모로 불어났습니다." (앤드류 로, MIT 금융공학실험실)

2000년 이후 파생상품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면서 월스트리트는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 리먼브라더스, 메릴린치, 베어스턴스 등 5개의 투자은행과 시티그룹과 제이피모건 등 2개의 금융 그룹, AIG와 MBIA, AMBAC 등 3개의 보험회사, 그리고 무디스와 스탠다드앤푸어스, 피치 등 3개의 신용평가회사들로 재편됐다. 먹이사슬의 증권화, 수십조달러가 연결된 이 새로운 시스템이 199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사태를 불러왔다.

"30년 전에는 만약 당신이 집을 사려고 대출을 받으면 빌려준 사람은 당신이 돈을 갚는 것을 기대했죠. 그러나 증권화가 확산되면서 돈을 빌려주는 사람은 상환이 안 되는 위험에 노출되지 않습니다. 새로운 시스템에서는, 대출업자가 모기지론을 투자은행에 팔고 투자은행은 수천개의 모기지와 다른 대출 즉, 자동차 론, 학자금 론, 신용카드 론등을 모두 합해서 복잡한 파생상품을 만듭니다. 부채담보부증권(CDO)이라 불리는 파생상품입니다."

"그리고 나서 투자은행들은 CDO를 투자자들에게 판매합니다. 이제, 주택소유자가 모기지를 갚으면 그 돈은 전세계에 걸쳐있는 투자자들에게 흘러들어갑니다. 투자은행들은 신용평가사들에게 CDO의 등급평가를 위해 돈을 지불하고 CDO중 많은 수량이 AAA등급을 부여 받습니다. 이렇게 되면 CDO가 높은 등급의 증권에만 투자할 수 있는 은퇴자금 펀드의 인기가 높아집니다. 이 시스템은 시한폭탄이었습니다."

"대출업자들은 돈을 빌린 사람들이 돈을 갚을지 못갚을지에 대해 더이상 신경을 쓰지 않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더욱 위험한 대출을 시작했습니다. 투자은행들 또한 신경쓰지 않습니다. CDO를 많이 팔면 팔수록 그들의 수익은 더 높아져갔습니다. 그리고 투자은행들로 부터 댓가를 받은 신용평가사들은 그들이 평가한 CDO의 등급이 틀렸다고 하더라도 책임이 없었습니다. 위험한 상황에 처하지도 않게 된거죠. 그리고 감독(규제)통제도 없었죠."

질리언 테드 파이낸셜타임즈 미국 편집장은 "그러니 더욱 더 많은 대출을 퍼줘도 괜찮다는 사인을 받은 것이나 마찬가지였다"고 지적한다. 실제로 2000년부터 2003년 사이에 모기지론 대출은 4배 가까이 늘어났다. 모기지론의 위험이나 안정성에는 관심이 없고 무작정 대출을 늘려서 수수료를 받아챙기는데만 관심이 있었다. 테드는 "이들이 자신들이 위험한 짓을 하고 있다는 걸 알고 있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변했다.

루비니에 따르면 2006년 S&P 500 기업의 이익 가운데 40%를 금융기관들이 차지할 정도로 월스트리트의 이익은 가파르게 불어났지만 이는 사상 최대의 금융 거품 덕분이었다. 파이낸셜타임즈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마틴 울프는 "그건 실제 이익이 아니라 시스템에 의해 창조된 돈이고 이익으로 계상된 것일 뿐"이었다고 설명했다. 울프는 "단순히 국가적인 수준을 넘어 세계적인 규모의 피라미드 사기였다"고 지적했다.

그 무렵 투자자산 대비 대출 비중을 나타내는 레버리지 비율은 33배까지 올라가기도 했다. 3%만 자산가치가 하락해도 파산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레버리지를 규제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그린스펀은 이를 거부했다. 불안 심리가 높아지자 AIG 등은 신용부도스왑이라는 보험상품을 판매하기 시작했다. CDO가 부도나면 손실을 보장해주겠다고 약속했지만 이들 보험회사들은 아무런 충당금도 적립하지 않았다.

이 영화는 서브프라임 사태가 끔찍한 재앙이었다는 사실을 넘어 충분히 예견됐을 뿐만 아니라 의도된 재앙이었다는 사실을 폭로한다. 포춘 편집장인 알렌 슬론은 "서브프라임 모기지론을 받은 사람들은 평균 집값의 99.3%까지 대출을 받았는데 이는 그 집에 돈이 없다는 걸 의미한다"면서 "이건 정말 미친 짓임에 틀림없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이런 황당무계한 금융상품의 3분의 2 이상이 AAA 등급을 받았다는 사실은 이제는 놀랍지도 않다.

골드만삭스는 이런 말도 안 되는 금융상품을 판매하면서 한편으로는 이 금융상품들이 부도날 위험에 대비해 보험상품에 가입하는 이율배반적인 투자를 하기도 했다. 골드만삭스가 AIG에서 구매한 신용부도스왑이 220억달러나 됐다. 그 금액이 너무 커서 AIG가 부도날 위험에 대비해 AIG의 신용부도스왑을 1억5천만달러어치 구매하기도 했다. 심지어 자신들에게 투자한 고객들이 돈을 잃으면 잃을수록 자신들의 이익이 늘어나는 CDO를 판매하기도 했다.

2008년 미국 상원 청문회에서는 "당신네 직원들이 쓰레기라고 말한 금융상품을 고객들에게 판매한 것이 옳은 일이냐, 심지어 당신들은 당신들이 판매한 금융상품의 반대편에 돈을 걸기도 했다"는 비판에 골드만삭스의 최고경영자 로이드 블랭크페인은 "시장 조성이라는 차원에서 그건 모순이라고 할 수 없다"면서 "우리의 경쟁자들은 우리보다 훨씬 더 심했다"고 답변했다.

실제로 모건스탠리는 AAA 등급의 금융상품을 판매하면서 정작 그 금융상품이 부도날 가능성에 베팅을 했다. 1년 뒤 모건스탠리는 수억달러를 벌었지만 투자자들은 원금을 모두 날렸다. 스탠다드앤푸어스나 무디스 같은 신용평가회사들이 공범이었다. 이들은 이 위험천만한 파생상품들에 최고 등급을 부여하고 엄청난 수수료를 챙겼다. 무디스의 이익은 2000년에서 2007년 사이 4배 이상 불어났다.

"시티뱅크의 척 프린스가, 이런 유명한 말을 했습니다. '우리는 음악이 끝날때까진 춤을 춰야만 합니다'. 그런데 사실, 그가 그 말을 할 때쯤엔, 이미 음악은 멈춰버린 후였죠." (조지 소로스) "행크 퍼슨 골드만삭스 최고경영자에게 이런 이야기를 한 것을 아주 명확히 기억하고 있습니다. '해일이 다가오고 있는걸 보고 있으면서 당신은 그저 어떤 수영복을 입을건지에 대해 우리에게 제안하고 있습니까'라구요." (크리스틴 라가르드, 프랑스 재무부 장관)

실제로 2008년 봄부터 주택압류(담보권행사)가 늘어나면서 먹이사슬이 파괴되기 시작했다. 그해 여름 페니메이와 프레디맥 등 모기지론 회사들이 파산했고 그해 9월 리먼브러더스가 파산했다. 베어스턴스는 파산 한 달 전까지 AAA 등급을 받았다. 리먼브러더스와 AIG도 파산 며칠 전까지 AA 등급을 받았다. 리먼브러더스의 파산 직후 AIG가 판매한 130억달러의 신용부도스왑이 부도 위험에 놓이자 정부가 AIG를 접수, 1600억달러를 쏟아부었다.

"아주 무서웠습니다. 전체 시스템이 얼어 붙어버렸죠. 아무도 돈을 빌릴 수 없었죠. 그것은 마치 세계적인 금융시스템의 심장마비와 같은 거였습니다." (누리엘 루비니) "우린 아직도 어떤 식으로든 피난처를 만들수 있고, 그리고 폭풍(금융위기)에 피해가 덜 입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가능하지 않습니다. 아주 세계화된 환경에서는 (각국의) 경제는 서로 연결돼 있으니까요."(리 씨엔 룽, 싱가폴 수상)

월스트리트가 고용한 로비스트가 3천명, 이들을 통해 정치권에 후원금으로 들어간 돈이 1998년부터 2008년까지 50억달러에 이른다. 수많은 경제학자들이 규제완화를 요구하면서 정부 정책에 영향을 미쳤지만 정작 금융위기를 경고한 경제학자는 손에 꼽을 정도로 적다. 이들 가운데 상당수는 기업에서 엄청난 규모의 지원금을 받는다. 투자은행의 이사로 일하면서 정부 정책 자문을 하는 학자들도 많다.

오바마 정부에서도 상황은 크게 달라진 게 없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당선되기 전까지만 해도 월스트리트를 개혁하겠다고 큰 소리를 쳤지만 정작 금융 개혁안은 알맹이가 빠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심지어 티모시 가이트너 전 뉴욕연방준비은행 총재를 재무부 장관에 임명했다. 가이트너의 후임으로는 골드만삭스 출신의 윌리엄 더들리를 임명했고 조지 부시 대통령 시절 재무부장관이었던 래리 서머스를 경제자문으로 임명했다.

"왜 금융엔지니어(금융공학자)들이 진짜 엔지니어들보다 4배에서 100배나 많은 돈을 받아야 합니까. 진짜 엔지니어들은 다리를 만들죠. 금융엔지니어들은 꿈을 만듭니다. 그리고 그 꿈이 악몽으로 판명되는 순간 다른 사람들이 그 댓가를 치릅니다. 엄청난 댓가를 치룬 후, 우리는 재앙을 피했고 회복중입니다. 그러나 금융위기를 초래한 사람들과 기관들은 아직도 권력을 쥐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변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서브프라임 사태 이후 3년이 지났지만 위기의 불씨는 아직 제거되지 않은 상태다. 오히려 최근 유럽 재정위기 사태에서 다시 확인했듯이 무분별한 양적완화와 재정정책은 근본해법이 될 수는 없다. 오히려 2008년은 민간부문의 위기였지만 2011년은 정부부문의 위기다. 최악의 경우 유럽의 재정위기가 세계적인 실물경기 침체로 이어지고 통제 불가능한 금융위기로 발전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조지프 스티글리츠 전 세계은행 부총재는 지난해 출간된 '스티글리츠 보고서'에서 "세계화한 외부성(global externality)을 교정하고 글로벌 공공재(global public goods)를 공급하는 것이 위기의 해법"이라고 지적했다. 이마뉴엘 월러스틴 예일대 교수도 "달러화가 기축통화로서 역할을 상실하면서 미국의 엄청난 채무에 의존한 성장정책은 지속 불가능하다"고 지적한 바 있다.

영화 '인사이드잡'이 주는 교훈은 더 늦기 전에 금융규제를 다시 강화하고 자산거품을 꺼뜨려야 하며 실물경제를 활성화할 정책적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려면 무엇보다도 정치권과 월스트리트 금융자본의 결탁을 청산하고 금융위기의 책임자들을 처벌해야 한다. 그리고 세계적으로 미국 의존도를 낮춰 단계적으로 글로벌 불균형을 해소하는 것이 근본 해법이 될 것이다.

지난 30년 동안 세계 경제를 지배해온 신자유주의 시스템의 한계가 드러난 이상 변화는 불가피하다. 감세와 규제완화 기조를 전면 수정하고 정부의 시장 개입과 통제를 강화해야 한다. 금융 시스템을 바로잡고 공공부문을 강화해 무너진 사회 안전망을 복원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자본주의의 탐욕을 제어할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그게 아니라면 위기는 계속 되풀이 될 수밖에 없다.